- 지리산, 덕유산, 소백산 등 1,300m 이상 아고산 지역에 기온, 지온, 습도, 광량, 강수량, 토양수분 등 미세 기상 측정장비 설치하여 기후변화 관찰
□ 국립공원관리공단(이사장 엄홍우)은 지리산, 덕유산, 소백산 국립공원 의 1,300m이상 아고산대 지역에서 폭우와 혹한, 가뭄 등의 기상상황을 측정하여 이러한 환경이 자연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있다고 밝혔다.
○ 공단 산하 국립공원연구원은 작년부터 지리산, 덕유산, 소백산 등의 아고산대 지역에 기온, 지온, 습도, 광량, 강수량, 토양수분 등 환경 요인을 30분 간격으로 수집하는 측정 장비를 설치하여 기상자료를 수집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는 아고산대 지역의 기후변화가 자연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것으로서 짧은 기간이지만 아고산대가 일반지역보다 훨씬 가혹한 자연환경에 노출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작년 7월과 8월의 지리산국립공원 돼지평전(1,350m), 노루목(1,532m), 반야봉(1,720m) 인근 구상나무림에는 일 강수량이 100mm가 넘는 일수가 4일이나 되었는데 인근 남원시는 이틀에 불과했다. 특히 7~8월 남원시 강수량이 787mm인데 비해 돼지평전은 두 배에 가까운 1,419mm나 되었다.
- 지리산, 소백산, 덕유산국립공원의 1,300m 이상 지역의 올해 1월 평균 기온은 영하 14.8℃, 16.1℃, 14.9℃ 이었는데 인근지역(남원, 영주, 장수)은 평균 기온이 각각 영하 6.3℃, 6.1℃, 8.8℃에 불과했다.
- 작년 3월 지리산 반야봉 인근 구상나무림의 토양수분 함량이 5% 미만에 불과했는데 같은 시기 일반지역은 10%정도가 보통이었다.
□ 한편 아고산대 지역에는 구상나무, 분비나무, 주목과 같은 침엽수가 분포하는데 한라산이나 덕유산에서는 구상나무림이 쇠퇴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과거 연구결과를 보면 지리산과 덕유산의 구상나무는 한대성 수종으로 지구온난화가 진행되면서 증발산량이 급증해 광합성에 필요한 수분을 빼앗김으로써 생장이 늦어지게 되고 결국 점점 분포지역이 축소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특히 작년에 국립환경과학원이 지리산 1,000m 이상 지역의 구상나무 군락을 항공사진과 위성영상으로 분석한 결과 분포면적이 1981년 262ha에서 2007년 216ha로 18%나 감소했는데 이것 역시 지구온난화와 관련된 것으로 추측된다.
※ 구상나무: 한라산, 덕유산, 지리산국립공원 등 남부지방의 해발 900m 이상 지역에 분포하는 한국 특산종으로 세계적으로 크리스마스트리로 가장 인기있는 나무. IUCN이 ‘위협근접종(Near Threatened)’으로 지정했는데 한라산에서는 온대수종과의 경쟁으로 멸종위기에 처하거나 쇠퇴의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지적되고 있음.
□ 국립공원연구원 권혁균 원장은 “고산지대의 침엽수림이 쇠퇴하는 원인으로 기후변화가 유력함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해당지역의 기상환경을 관측한 결과가 없었다.”면서, “지속적인 기상측정 결과는 기후변화와 생태계 변화의 상관관계를 밝혀내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말했다.
<참고자료> 국립공원 미기상 관측 장비 설치 현황
국립공원 |
측정 장소 |
고도 |
특징 |
지리산 |
돼지평전1 |
1350m |
구상나무 군락 |
돼지평전2 |
1350m |
어린 구상나무 군락 |
|
노루목 |
1532m |
구상나무 군락 |
|
반야봉1 |
1718m |
구상나무 군락 |
|
반야봉2 |
1720m |
가문비나무 군락 |
|
반야봉3 |
1613m |
가문비나무 군락 |
|
소백산 |
비로봉1 |
1534m |
주목군락 |
비로봉2 |
1534m |
주목군락 |
|
덕유산 |
향적봉1 |
1350m |
구상나무 군락 |
향적봉2 |
1370m |
구상나무 군락 |
저작권자 danews 무단복제-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