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보건환경연구원은 미호강 수질개선 및 지속가능 맑은물유지를 위해 미호강 본류 12개 및 지류 하천 15개 지점에 대한 수질을조사한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수질 조사 결과 미호강 상류 부근 오염원 조사가필요한 것으로 나타나 미호강 상류부근 모래내천, 냇거름천, 도청천, 성산천, 중산천 5개 지류하천을 추가하여 총 27개 지점에 대한 수질을 분석한다.
지난해「미호강 맑은 물 사업」의 성공 추진을 위한 기초자료 확보하기 위해 미호강 본류 12개 및 유입 지류하천 10개 총 22개 지점을 대표 지점으로 선정하고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최상류 지점에서 평균 BOD 1.3 mg/L로 Ⅰ등급의 깨끗한 수질을 유지하다 모래내천, 냇거름천, 도청천, 성산천 등 소하천이합류하면서 오염도가 상승하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미호강 상류 지류하천 수질 조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조사 대상은 미호강 본류 최상류 지점, 미호강1~10, 무심천합류후를 포함한 12개 지점과 미호강 지류하천인 모래내천, 냇거름천, 도청천, 성산천, 중산천, 칠장천, 한천, 백곡천, 초평천, 보강천, 성암천, 석화천, 무심첨, 석남천, 병천천 15개 지점이다.
매월 시료채취 및 수질오염 지표항목 BOD등 9개 항목을 검사하고 환경부 수질측정망 자료를 연계분석하여 미호강의 본류 및 지류하천 수질현황과 오염 구간을 파악할 예정이다.
연구원 신현식 환경연구부장은 “미호강 본류 및 유입지천의 오염현황을 파악하여 미호강 맑은 물 사업의 기초자료로 제공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danews 무단복제-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