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는 오는 7월 장애인등급제 개편(현재 6단계⇒2단계로 단축)에 따라 특별교통수단 이용대상자가 현재 5,800여 명에서 11,000여 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 특별교통수단(두리발) 증차를 추진함과 동시에 휠체어/비휠체어 이용대상자를 구분하여 운영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특히 교통약자 특별교통수단인 두리발 차량은 올해 21억 원을 투입하여 30대를 증차하고, 노후차량 20대를 교체하는 등 2022년까지 총 63억 원을 투입해 103대 증차 및 48대 교체를 계획하고 있다.
부산시는 휠체어를 이용하지 않는 시각, 신장, 지적장애인 등을 위해 현재 1,000여 대가 운영 중에 있는 장애인콜택시(자비콜)와도 올해 3년 연장 계약을 체결하였으며 장애인콜 수락에 따른운전기사들에게 봉사료를 지급하여 이용자들에게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토록 하는 등 비휠체어 장애인들의 이동권 보장 강화에도 최선의 노력을 하고 있다.
특장차인 두리발 이용대상자 14,000여 명 중 특장차가 아닌 장애인콜택시(자비콜)의 이용이 가능한 비휠체어 장애인들에게는 자비콜을 적극 이용하도록 홍보하여 두리발 이용 휠체어 장애인의 배차시간을 현재 50분대에서 30분대로 단축해 나갈 계획이다. 현재 자비콜 이용자의 배차시간은 5~10분 내외로 일반택시와 거의 동일하여 만족도도 매우 높다.
한편 부산시 관계자는 “올해 4월 1일부터 두리발의 위탁운영기관을 기존 개인택시조합에서 시설물 관리운영 전문기관인 부산시설공단으로 변경하여 공공성·안전성·책임성을 한층 강화하고 체계적 관리로 교통약자의 이동편의 증진을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