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뉴스

뉴스홈 > 경제
유망기술 가진 새싹기업, 유니콘기업으로 키운다
울산경제자유구역청은 11월 7일 오전 10시 20분 울산전시컨벤션센터에서 ‘2024년 울산경제자유구역(UFEZ) 대중소 상생 투자 기반(플랫폼)’ 공모전에서 선정된 기업과 투자사를 연결하는 만남의 날(데모데이)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상반기 공모전에서 선정된 기업들이 투자사와 만남을 통해 투자유..

2024-11-07 19:47  손혜경 기자

‘수소가 미래다’ 제1회 전남 청정수소 국제포럼 개최
광양시는 4일 성황 스포츠센터에서 ‘수소로 여는 미래, 에너지 수도 전남’이라는 주제로 제1회 전남 청정수소 국제포럼이 개최됐다고 알렸다.   이번 포럼은 전라남도와 여수‧순천‧광양 행정협의회가 공동으로 주최하고, 광양시와 녹색에너지연구원이 주관했다.   포럼 참석자들은 대한민국의 수소..

2024-11-05 13:12  문홍석 기자

폐광지역개발지원 특위 현지시찰
강원특별자치도의회 ‘폐광지역개발지원 특별위원회’가 10월 31일부터 11월 1일까지 1박 2일간 폐광지역인 영월, 정선 일원을 방문, 현지시찰을 추진하며본격적인 활동에 돌입했다.   폐광지역개발지원 특별위원회는 지난 10월 15일 구성 후 첫 현지시찰이며, 이번 첫 일정으로는 영월·정선 지역에 위..

2024-11-01 19:36  전덕채

서부산이 동남권 발전의 미래를 열다
박형준 시장은 낙동강에서 뻗어나가는 교통 기반 시설인프라의 획기적 전환을 통해서 서부산을 동남권의 새로운 혁신 기지이자 성장축의 중심으로 도약시키기 위해 서부산 교통 혁신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 부산시시장 박형준는 오늘(30일) 오후 2시 30분 박형준 시장 주재로  「제17차 서부산 현장회의」를 에코..

2024-10-31 10:48  김경희 기자

부동산 경매 취득세 누락 전수조사… 13억 원 추징
경기도가 올해 상반기 ‘경매 취득 부동산 탈루세원 전수조사’를 실시한 결과 취득세 과세표준 누락 신고 225건을 적발해 총 13억 원을 추징했다고 20일 밝혔다. 지방..

2024-09-20 17:07  전덕채 기자

1,500억 원 반도체소재 생산공장 투자유치
울산시가 1,500억 원 규모의 반도체소재 생산공장을 유치함에 따라 반도체와 이차전지 등 첨단산업 중심지로서의 입지를 더욱 확고히 다졌다. 울산시와 (주)비지에프(BGF)에코..

2024-08-20 20:00  손혜경 기자

세수 확보 위해 지방세 체납 신탁부동산 등 2,451건 일괄..
경기도가 누적되는 체납액 정리를 위해 31개 시군과 협업해 신탁부동산 및 기압류 부동산에 대한 일괄공매를 추진 중이라고 30일 밝혔다. 도는 지난 1월 신탁부동산 일제 정리..

2024-07-30 21:24  전덕채 기자

올겨울 대비 재난관리기금 20억 원 선제적 지원
경기도가 겨울철 도로 살얼음 사고 예방에 필요한 자동 염수분사장치 설치를위해 도 재난관리기금 20억 원을 시군에 선제적으로 지원한다고 15일 밝혔다. 도로 살얼음은 육안으..

2024-07-15 13:48  전덕채 기자

“동남아시아 조선해양 분야 해외 시장 개척 나선다”
울산시가지역 중소기업의 경기회복을 지원하고 수출확대와 시장 다변화를 위해 해외시장 개척에 나선다. 울산시는 코트라(KOTRA) 울산지원단과 함께 9월 29일부터 10월 4일까..

2024-07-08 18:44  빈수진 기자

‘리스’로 수입차 타고 다닌 고액 체납자 등 456명 적발
#1. 2022년부터 지방소득세 등 3억 3천만을 체납한 개인사업자 A씨는 수차례 납부 독려에도 핑계를 대며 납부를 미뤘다. 경기도 추적조사 결과 6억이 넘는 포르쉐를 리스로 타고다..

2024-07-02 19:13  전덕채 기자

충북형 디지털전환 소상공인 금융지원 업무협약
충청북도 - 충북신용보증재단 - 4개 금융기관(농협, 우리은행, 카카오뱅크, 하나은행)은 10일 충북도청에서 김영환 도지사 등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충북형 디지털전환..

2024-06-10 19:17  문홍석 기자

청년내일저축계좌 신규 가입자 모집
하동군이 오는 21일까지 ‘청년내일저축계좌’ 신규 가입자를 모집한다. 이는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 청년들의 자립을 지원하고 안정적 경제 활동 기반을 제공하는 정책이다.   가입 대상은 근로·사업소득이 있는 청년이며, 지원 방식은 기준 중위소득 50% 이하 만 15~39세 청년과 기준 중위소..

2024-05-08 16:39  이재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