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뉴스

뉴스홈 > 칼럼/기고
동천 변화를 위한 노력
동천은 부산진구에 위치한 백양산 자락의 선암사 계곡, 국제고 뒤편 계곡에서 발원한 당김천이 엄광산의 동아대학교 계곡과 가야공원 계곡에서 발원한 가야천과 지금의 부암교차로 인근에서 만나 북항으로 흘러 들어가는 하천을 말한다.   환경수호운동연합회는 2016년 남구 문현동에 자리잡은 부산국제금융센터 ..

2024-11-05 13:19  김경희 기자

사회적기업연구원 인턴 김상덕 ‘시니어인턴은 금턴’
시니어인턴은 금턴이다! '나도 인턴이다!'라고 했더니 같이 근무하는 인턴이 공기업의 인턴은 금턴이라고 한다. 치열한 경쟁을 뚫고 들어온 인턴의 경력이 NCS채용에 있어서 서류심사와 심층면접에서 비계량 가점요소로 작용될 수 있으니 공기업 인턴은 금턴이라고 할 만하다. 인턴의 지상과제는 정규직 직장을 갖..

2019-10-01 18:31  이재민 기자

하천살리기는 분류식관망으로부터
부경대학교 생태공학과 교수 이석모     오늘날 우리의 가정하수는 수세식 화장실을 통하여 배출되는 분뇨, 목욕과 세탁을 통한 세척수, 조리과정의 주방폐수로 이루어져 있다. 이 중 분뇨는 고농도의 유기물을 함유하기 때문에 서구에서는 정화조와 토양흡수장을 통하여 처리하여 왔다. 그러나 토양오염에 의한 ..

2017-03-16 19:43  김경희 기자

산천어를 살리자-한국어업피해연구소장 성기백
만물이 새 생명의 기운을 머금고 기지개를 펴고 있을 때쯤이면 동해안 양양 남대천을 비롯한 크고 작은 하천에는 연어 자원증강과 보존을 위하여 대대적으로 연어 새끼가 방류되어 새로운 생명을 잉태시키기 위해 활발한 먹이 활동을 하며 먼 바다를 향해 떠나기 위해 몸집을 불리고 있다. 이렇게 자원증강을 위해 갖은 노력..

2015-02-15 10:27  김경희 기자

우리나라 연어치어 방류사업의 현주소와 나아갈 방향.
우리나라 연어치어 방류사업의 현주소와 나아갈 방향 한국어업피해연구소 소장 성기백 매년 4월이면 연어치어의 방류가 거의 마무리된다. 우리나라에서 연어를 인위적으로 관리를 시작한지 100년이 훌쩍 넘었다. 1913년 함경남도 고원에 일본인에 의해 연어 부화장이 설립되었다.현재는 동해안 울진 이북은 연어 자원증..

2015-02-11 15:20  성기만 기자

신구대 환경동아리 Nature+ 환경축제에서 그린샵오픈
 대학 축제하면, 다양한 음식 판매 및 음악, 술, 유명연예인의 공연 등이 떠오르기 마련이다. 하지만 많은 이들이 생각지 못하는 동안 쓰레기는 대학 내에 가득 쌓이게 된다. 대학 축제는 곧 쓰레기의 장이라 불러도 될 만큼, 일회용 컵과 접시를 비롯한 쓰레기들과 쓰다 버린 대자보 등이 캠퍼스에 나뒹군다. 이처럼..

2012-10-25 21:08  김정수 기자

누구의 책임인가? 누가 노력을 해야 할 것인가?
누구의 책임인가? 누가 노력해야 할 것인가?  2012. 08월 28일 필자는 태풍이 몰아치는 속에서 마산에서 광명 행 ktx에 올라 좌석은 비좁지만 좋지 않은 날씨에도 빠르게 이동할 수 있음을 감사하는 마음으로 광명역에 내렸다. 그러나  이곳이 한국 땅 그것도 고속철의 일번지라고하는 광명역인지 의심해야할 일..

2012-08-29 10:00  박방곤 기자

인도네시아 섬 2000개 기후변화로 물에 잠길 위기
2030년 인도네시아 섬 2000개 기후변화로 물에 잠길 위기 인도네시아는 세계적 관광지 발리를 포함하고 있는 아름다운 도서국이다. 하지만 약 1만7천여 개의 섬 중 2000여 개가 물에 잠길 위기에 처한 나라이기도 하다. 국제연합(UN)은 기후변화로 인해 2030년이 되면 해수면이 약 89센티미터 상승해, 인도네시아 섬 ..

2012-08-11 16:10  김정수 기자

인도네시아로 향하는 푸른 발걸음, 환경리더 대자연
인도네시아로 향하는 푸른 발걸음, 환경리더 대자연   2월 9일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시청 방문, 협약(Agreement) 체결 지난 2월 16일 오전, 인천국제공항에는 인도네시아에..

2012-05-01 12:03  김정수 기자

생명의원천 낙동강물을 살리자
[환경르뽀] 생명의원천 낙동강물을 살리자 지난3월 22일은 세계물의 날이었다.각 지역에서도 다양하고 내실있는 행사를 실시하여 환경단체.시민.학생등 자원봉사자들이 적극참여하여 물을 소중함을 알리는 계기가되었다. 부산시민 생명의 원천인 낙동강물이 각종 환경보존 정책으로 인하여 서서히 수질 오염도가 좋..

2012-03-24 21:14  김정수 기자

우리가 마시는물 안전한가-김용진교수
물은 우리 주변에 흔한 물질이다. 그러나 막상 목이 말라서 먹을려고 물 가까이 다가서 보면 요즈음에는 먹지 못할 물이 너무 많아졌다. 그게 몽땅 사람들이 한 짓이다. 하나님이 물을 오염시킨 것도 아니고 사탄이나 천사가 돌아다니며 똥물을 만든것도 아니다. 살포시 뒷산을 뛰어 다니던 고라니떼나 토끼들이 오염시킨 것..

2012-03-03  01:05  하영자 기자

당신이 마시는 물
요즈음 지구상에서 가장 중요하게 언급되는 자원 중 하나는 물이다. 물은 생명과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이다. 만일 지구상의 물이 다 오염되고 만다면 지구 생명체의 멸종까지 이르게 될 심각한 상황이 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깨끗한 물을 유지 관리하는 일은 환경운동가들만의 몫이 아닌 모든 생명체들이 함께 노력해야 할..

2012-03-03  0: 40  하영자 기자